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제는 안 좋은데 주식시장이 오르는 이유: '돈의 가치 하락'을 주목해야

by 이태원 신사장 2025. 10. 31.
반응형

“경기는 침체인데, 왜 자산은 오를까?”
요즘 모두가 느끼는 이 이상한 경제 현상,
그 답을 김광석 교수가 명쾌하게 정리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 ‘경제는 어려운데 주식이 오르는 진짜 이유’,
그리고 2025~2026년 투자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포인트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 “다 오른다 = 아무것도 안 오른다”

김광석 교수의 핵심 메시지는 의외로 단순합니다.

★“모든 자산이 오른다면, 사실 아무것도 오른 게 아니다.”

왜냐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금·부동산의 ‘양’은 한정돼 있지만,
돈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 —
같은 자산을 사기 위해 더 많은 돈이 필요해집니다.

즉, 자산이 오른 게 아니라 💸 돈의 가치가 하락한 것,

돈을 들고 있는 사람이 손해를 보는 구조.
이걸 경제학에서는 디베이스먼트(Debasement),
즉 화폐가치 하락 현상이라고 부릅니다.


📉 실물경제는 침체, 그런데 자본시장은 날아간다

김 교수는 “이제 실물경제와 자본시장은 완전히 분리된 세상”이라고 말합니다.
구분 의미 현재 상태
메인스트리트(Main Street) 실물경제 (자영업, 수출, GDP 등) 저성장, 침체
월스트리트(Wall Street) 자본시장 (주식, 부동산 등) 폭등, 활황

 


실물은 어렵지만, 돈은 시장으로 이동합니다.
왜냐면 경기가 안 좋아야 정부가 돈을 풀기 때문이죠.

- 경기가 나빠야 금리를 내립니다.
- 경기가 나빠야 추경·재정을 씁니다.
- 경기가 나빠야 소비 쿠폰을 줍니다.

결국, 👉 “경기가 나쁠수록 돈이 풀리고, 돈이 풀릴수록 자산이 오른다.”


📈 유동성 장세의 구조

김광석 교수는 지금을 **‘피벗세(Pivot세) 시대’**라고 부릅니다.
즉, 점진적 금리 인하 → 유동성 확대 → 자산가격 상승의 흐름이죠.

2020~21년 완화기엔 자산이 폭등했고,
2022~23년 긴축기엔 조정이 왔습니다.
이제 2024~26년은 다시 완화로 돌아선 시기입니다.

💡 핵심 포인트

M2(광의 통화량) 증가 = 자산시장 랠리

M2 감소 = 긴축기, 조정

금리 인하 국면 = 돈의 가치 하락 → 자산 상승


🏦 왜 금리 인하가 계속될까?

전 세계가 부채의 늪에 빠져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 유럽, 한국 모두 막대한 국채를 발행했고,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금리 인하가 필수입니다.

김 교수의 전망에 따르면,

2025년 하반기~2026년 중반까지 금리 인하 지속

미국은 2026년 중간선거 전까지 완화적 통화정책 유지

QT(양적 긴축) 종료, 규제 완화, 스테이블코인 확대 → 모두 유동성 증가 요인

📍 결론:

“2026년 중반까지는 유동성 장세가 이어질 것.”


💣 유동성 랠리의 끝은 ‘인플레이션’

모든 랠리에는 끝이 있습니다.
그 신호는 바로 물가 상승, 즉 인플레이션입니다.

20~21년: 돈이 풀림 → 자산 급등

22년: 물가 폭등 → 금리 인상 전환

25~26년: 다시 돈이 풀림 → 2차 인플레 가능성

김 교수는 2026년 중반쯤 인플레이션이 다시 고개를 들 것으로 예측합니다.
그때가 되면 금리 인상 사이클이 재개되고,
지금의 유동성 랠리는 서서히 막을 내리게 됩니다.


🧭 지금 투자자가 해야 할 일

1️⃣ 현금을 쥐고 있는 사람만 손해 본다.
→ 유동성 장세에서는 현금보다 자산 보유가 유리.

2️⃣ 포트폴리오 재조정 필요.
→ 금, 주식, 부동산 등 자산 클래스별 비중을 점검하라.

3️⃣ 금은 조정기에 매수 기회.
→ APEC 정상회담 이후 평화무드로 금값 하락 가능 → 이후 재상승 가능성 높음.

💬 “지금은 현금을 모을 때가 아니라, 자산을 나눌 때다.”


 마무리 정리

  • 지금 자산이 오르는 건 경제가 좋아서가 아니다.
  •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을 뿐이다.
  • 실물경제는 둔화, 자본시장은 활황 → 유동성 장세의 전형적인 특징
  • 2026년 중반까지는 상승세 유지, 그 이후 인플레이션 주의.

👉 결국 현금을 쥔 사람은 뒤처지고, 자산을 가진 사람이 웃는다.


 출처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PJEsUgGxirw
본 글은 해당 영상을 바탕으로 주요 내용을 재구성·요약한 콘텐츠입니다.

반응형

댓글